티스토리 뷰
목차
오늘은 2025년 연말정산 시 맞벌이 부부들이 꼭 알아야 할 절세 전략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맞벌이 부부의 경우 혼자 직장생활을 하는 경우와 다르게, 부부가 함께 전략적으로 접군하면 더 많은 세금을 환급받을 수 있는데요, 특히 2025년에는 자녀 세액공제가 확대되는 등 달라지는 부분들이 있어서 이러한 변화를 잘 활용하면 큰 절세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인적공제부터 의료비, 신용카드 사용, 교육비, 기부금까지 항목별로 맞벌이 부부가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절세 전략을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2025 연말정산 맞벌이 부부 기본 공제 전략
✅ 맞벌이 부부의 연말정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양가족에 대한 기본공제를 어떻게 배분할지 결정하는 것입니다.
1. 기본공제 대상자 선택 원칙
- 부양가족 1인당 150만 원씩 공제 가능
- 부부 모두 소득금액이 100만 원(총급여 500만 원) 초과 시에만 맞벌이 부부로 인정
- 상대 배우자에 대한 기본공제는 불가능
2. 소득별 최적 공제 전략
- 일반적으로 소득이 높은 배우자가 공제받는 것이 유리
- 부부 연봉이 비슷한 경우, 적절하게 배분하여 과세표준 누진구간 낮추기
- 부양가족 공제를 받은 사람이 해당 가족의 의료비, 교육비 등 추가 공제도 함께 받아야 함
- 고소득 배우자 : 자녀 세액공제 유리, 연금저축·IRP 우선 적용
- 저소득 배우자 : 의료비 지출 공제 유리, 신용카드 사용액 공제가 유리할 수 있음
3. 부양가족 공제 시 주의사항
- 자녀의 경우 부모 중 한 명만 공제 가능
- 부모님 공제는 형제자매 중 1인만 가능
- 실제 부양 사실을 입증한 사람이 우선 인정
맞벌이부부 의료비 공제 전략
맞벌이 부부의 의료비 공제는 소득이 낮은 배우자에게 몰아주는 것이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연봉 5천만 원 배우자는 150만 원(3%), 3천만 원 배우자는 90만 원(3%)이 공제 기준이 되어 소득이 낮은 쪽이 더 많은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1. 배우자 의료비 공제 규정
- 배우자를 위해 지출한 의료비는 실제 지출한 본인이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 부부 중 한 명이 지출했다면 지출한 사람이 공제를 받아야 합니다.
2. 자녀 의료비 공제 주의사항
- 자녀의 의료비는 자녀에 대한 기본공제를 받는 배우자만 공제가 가능합니다.
맞벌이부부 교육비 공제 전략
교육비는 연간 지출액의 15%가 세액공제되며, 실제 교육비를 지출한 사람만 공제가 가능합니다.
1. 자녀 교육비 공제
- 자녀의 기본공제를 받는 배우자만 교육비 공제가 가능
- 한도 : 취학 전 300만 원, 초중고 300만 원, 대학생 900만 원
- 학원비는 취학전 아동만 공제 대상
2. 본인 교육비 공제
- 대학원 교육비는 본인만 세액공제 가능
- 본인이 배우자를 위해 지출한 교육비는 공제 불가
3. 주의사항
- 근로기간 중 지출한 교육비만 공제 가능
- 학자금 대출 상환 시에도 교육비 세액공제 가능(대학에서 교육비 납입 증명서를 직접 발급받아야 함)
4. 절세 전략
- 자녀 교육비는 소득이 높은 배우자가 기본공제를 받는 것이 유리
- 본인 교육비는 각자 공제 신청 필요
- 교육비 지출 시기를 근로기간과 맞추어 계획
맞벌이부부 신용카드 공제 전략
신용카드 사용액은 연봉의 25%를 초과하는 금액부터 공제가 시작됩니다. 다음은 2025년 맞벌이 부부의 신용카드 공제를 최대화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1. 총급여 기준 사용 전략
- 연봉의 25%까지는 신용카드 사용
- 25% 초과분은 체크카드나 현금영수증으로 전환
- 전통시장, 대중교통은 40% 공제율이 적용되므로 적극 활용
2. 소득별 카드 사용 배분
- 소득이 낮은 배우자 명의로 카드 사용 집중
- 부부 연봉이 비슷한 경우 소득이 낮은 쪽에 몰아주기
- 연간 지출금액이 큰 경우 소득이 높은 쪽에 몰아주기
3. 주의사항
- 가족카드는 카드 명의자 기준으로 공제
- 배우자 카드 사용액은 실제 사용한 본인이 공제
- 공과금, 해외사용액, 면세점 구매는 공제 제외
맞벌이부부 기부금 공제 전략
기부금은 실제 기부한 사람만 공제 가능하며, 배우자가 기부한 금액에 대해서는 다른 배우자가 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2025년 맞벌이 부부의 기부금 공제를 최대화하기 위한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025년 기부금 공제율
- 1천만 원 이하 : 15% 세액공제
- 1천만 원 초과 : 30% 세액공제
2. 소득 수분별 전략
- 고소득 배우자가 기부하는 것이 유리
- 부부 각자의 소득 구간에 따라 기부금 분산 필요
3. 이월공제 활용
- 과거 기부 후 공제받지 못한 이월기부금은 당해 연도 기부금보다 먼저 공제받는 것이 유리
4. 부양가족 기부금
- 기본공제 대상자가 지출한 기부금은 해당 부양가족의 기본공제를 받는 근로자가 공제 가능
- 부부 중 기본공제를 받는 쪽이 부양가족의 기부금도 함께 공제
5. 주의사항
- 기부금영수증 발급명세서 제출 필요
- 전자기부금영수증 발급이 의무화됨
마치며
오늘은 2025년 맞벌이 부부의 연말정산 절세 전략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특히 의료비, 교육비, 신용카드, 기부금 등 주요 공제 항목별로 맞벌이 부부가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들이 있는데요, 이러한 전략들을 잘 활용하면 상당한 절세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연초부터 계획적인 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부부의 소득 수준에 따라 공제 항목을 적절히 분배하고 지출 시기와 방법을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마지막으로 세법은 매년 조금씩 변경되므로 수시로 개정사항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바로가기, 이용방법, 개편내용 2025
2025년 연말정산 시즌이 어느덧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매년 1월이면 찾아오는 연말정산은 직장인들에게 '13월의 월급'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국세청은 연말정산을 더욱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ces.alterblo.com
2025 연말정산 월세 세액공제 제출서류, 제출방법(회사 제출, 홈택스)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관심이 있는 연말정산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특히 매달 꼬박꼬박 월세를 내는 분들이라면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 바로 월세 세액공제입니다. 2025년 연말정산에서도 월세
ces.alterblo.com
2025 부가세 신고 기간 신고방법 (일반사업자, 간이과세자)
2025년 1월이면 사업자들이 주목해야 할 중요한 세금 신고 일정이 있습니다. 바로 부가가치세 신고인데요, 이번 신고는 2024년 하반기 실적에 대한 확정 신고로, 개인, 법인사업자는 물론 간이과세
ces.alterblo.com